1. 4월 예·적금 금리 현황
2025년 4월 현재, 국내 시중은행들의 정기예금 및 적금 금리는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2.90%~3.30% 수준이며, 일부 인터넷은행과 저축은행은 연 4.00% 이상의 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.
주요 은행별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(2025년 4월 기준)
국민은행: 연 3.10%
신한은행: 연 3.20%
하나은행: 연 3.00%
우리은행: 연 3.05%
카카오뱅크: 연 3.30%
케이뱅크: 연 3.20%
토스뱅크: 연 3.10%
이처럼 금리가 낮아지는 상황에서도 일부 은행들은 신규 고객 유치 및 자금 조달을 위해 한정판 특판 상품을 출시하고 있으며, 우대금리를 포함하면 **최대 연 6.00%~7.00%**의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2. 2025년 4월 신규 예·적금 특판 상품 추천
현재 은행들이 출시한 특판 예·적금 상품 중에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주요 상품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① 하나은행 '달달하나적금'
기본 금리: 연 2.00%
우대 금리: 최대 연 5.00% 추가 (총 7.00%)
조건: 급여이체, 카드 사용 실적 충족 시 적용
② 카카오뱅크 '26주 적금'
기본 금리: 연 3.00%
우대 금리: 연 2.00% 추가 (최대 연 5.00%)
조건: 자동이체 및 미리 보기 기능 활성화 시 적용
③ 신한은행 '스마트정기예금'
기본 금리: 연 3.20%
우대 금리: 연 0.80% 추가 (최대 연 4.00%)
조건: 신한카드 이용 및 급여이체 고객 대상
④ 저축은행 특판 상품 (지점별 상이)
평균 금리: 연 4.00%~5.50%
조건: 신규 가입 고객 대상 / 한정 수량 판매
저축은행 및 제2금융권의 경우, 금리가 높지만 일부 상품은 **예금자 보호(5천만 원 한도)**가 적용되므로 가입 시 유의해야 합니다.
3. 예·적금 가입 전 고려해야 할 사항
고금리 특판 예·적금 상품을 선택할 때는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.
우대금리 조건 확인
대부분의 특판 상품은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, 급여이체, 카드 실적, 자동이체 등록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우대금리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 후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한정판 상품 조기 마감 여부
인기 있는 특판 상품은 조기 마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금융사 공식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금리 변동 및 마감 여부를 확인하세요.
예금자 보호 한도 고려
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예·적금 상품은 예금자 보호법(최대 5천만 원 보장) 적용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
고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 상품이라도 5천만 원 초과 금액은 보호되지 않으므로 분산 예치 전략이 필요합니다.
✅ 결론: 4월 신규 예·적금, 이렇게 가입하자!
안정적인 금리를 원한다면 국민·신한·하나·우리은행의 정기예금 추천
높은 금리를 원한다면 하나은행, 카카오뱅크, 저축은행 특판 상품 활용
우대금리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 사전 확인 후 가입
2025년 4월 신규 예·적금 특판 상품은 다양한 조건과 금리를 제공하고 있으므로, 본인의 재무 상황과 목표에 맞는 상품을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